본문으로 바로가기

운전면허증

제가 20대에 가장 먼저 했던 일이 바로 운전면허증 취득하는 것이었고, 어느덧 10년이 지나 처음으로 운전면허증을 갱신해야 되는 날이 찾아왔는데요.

 

저도 이번 운전면허증 갱신(재발급)이 처음이라 운전면허증 사진 규격부터 시작하여 면허증 갱신 기간 안에 갱신을 안 하면 운전면허가 취소가 되는지, 운전면허증 갱신 기간을 지나면 과태료가 얼마인지, 적성검사는 또 뭔지 여러 궁금증을 가지고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였습니다.

 

-목차-

  1. 운전면허증 갱신 기간과 안하면 과태료 및 면허 취소
  2.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2가지
  3. 운전면허증 갱신 온라인 준비물과 적성검사(2종)
  4. 인터넷으로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2종)

운전면허증-갱신-문자-알림운전면허증-갱신-알림-두번째-문자
운전면허증 갱신 기간 중 문자 알림

1. 운전면허증 갱신 기간과 안하면 과태료 및 면허 취소

우선은 운전면허증 유효 기간은 10년으로 과거에 1종은 7년, 2종은 9년으로 6개월 기간 안에 갱신해야 했었으나, 2011년 12월 이후부터는 운전면허증 유효기간이 10년으로 마지막이 되는 1년 안에 갱신해야 되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2012년에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았으면, 10년의 유효기간 마지막 해인 2022년 중에 바꿔야 된 다는 것입니다.

 

여담으로 제가 이번 2022년 해에 운전면허증 갱신을 해야 되는데, 도로교통공단에서 2번이나 문자로 알림을 보내주더라고요. 문자를 받지 않았더라면 면허증 갱신기간을 모르고 놓칠 뻔했네요.

 

 

그럼 운전면허증 갱신 기간을 놓치게 되면 어떻게 될까?

만약 갱신 기간을 놓치게 된다면 우선 과태료가 발생됩니다. 운전면허증 1종은 3만 원의 과태료, 2종은 2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되는데요. 문제는 이 과태료도 납부기간이 정해져 있어서 과태료 납부기간까지 놓칠 경우 5%의 가산금을 시작으로 매 월마다 1.2%의 중가산금이 붙어, 최대 77%까지 붙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제가 또 하나 궁금했던 것은 운전면허증 갱신을 하지 않으면 면허증이 발탁되는지 여부가 궁금했었는데요. 다행히도 운전면허증 2종 보통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은 갱신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운전면허 자격이 취소되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1종 보통 면허를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은 적성검사 기간 만료일부터 1년이 지나면 면허가 취소가 된다고 하니 조심해야 될 것 같네요.

운전면허증-갱신-방법-운전면허시험장운전면허증-갱신-방법-인터넷-온라인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왼쪽 오프라인 오른쪽 온라인(인터넷)

2.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2가지

자 그러면 어차피 운전면허증 갱신(재발급)은 피할 수가 없으니 운전면허증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운전면허증 갱신하는 방법은 2가지로 나뉘게 되는데요.

  •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후 민원 처리로 갱신
  • 온라인(인터넷)으로 신청하고 경찰서 및 운전면허시험장에서 수령하기

첫 번째 방법은 신청과 동시에 발급이 가능하나 운전면허시험장에 방문하고 민원 대기를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고, 두 번째 방법은 인터넷으로 신청하기에 민원 대기 시간은 없으나, 신청 후 15일에서 길게는 한 달 정도 걸린다는 단점이 있는데요.

 

저는 이 2가지 방법 중 요즘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방법이기도 하고, 가장 간편하며 시간도 많이 소모되지 않는 인터넷으로 운전면허증 갱신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운전면허증 2종이라 2종으로 갱신 및 재발급 방법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3. 운전면허증 갱신 온라인 준비물과 적성검사(2종)

  • 휴대폰이나 간편 인증, 공동인증 같은 실명인증을 할 수 있는 것 1가지
  • 면허증의 새로 넣을 규격 3.5cm*4.5cm의 사진 파일
  • 온라인으로 면허증 갱신(재발급) 수수료 비용

운전면허증 2종 갱신 온라인(인터넷) 준비물은 위 3가지만 있으면 되고, 다행히도 1종 면허증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적성검사를 해야되는 반면에 2종 면허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적성검사를 하지 않습니다. 휴 다행이네요.

운전면허증-갱신-재발급-방법운전면허증-갱신-방법-실명인증
운전면허증 갱신(재발급) 방법 중 실명인증

4. 인터넷으로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일단 네이버에서 "운전면허증 갱신"이라고 검색하여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 사이트로 들어가시거나, 제가 남겨둔 링크를 통해 도로교통공단 안전운전 통합민원(https://www.safedriving.or.kr/) 사이트로 들어가신 다음 "운전면허증(모바일) 발급"에 클릭하시고 "2종 면허증 갱신"에 들어가신 뒤, 실명인증 페이지가 뜨면 실명인증을 해주세요.

 

그리고 면허증 재발급을 원하시는 분은 "2종 면허증 갱신" 옆에 있는 "면허증 재발급"을 누르시면 됩니다. 재발급과정이나 갱신과정이 똑같아서 그대로 따라와 주시면 됩니다.

 

운전면허증-갱신-방법운전면허증-갱신-방법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약관동의

이름과 민증번호로 인증하신 뒤, "휴대폰 인증"까지 마무리하게 되면, 2종 면허증 갱신 페이지 중 약관동의 하는 안내페이지가 뜨게 됩니다.

 

운전면허증-갱신-방법운전면허증-갱신-방법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수수료 및 분실 여부 확인

그러면 2종 면허증 갱신 신청 이용약관부터 시작하여, 수수료 안내, 면허정보 확인, 면허증 분실 여부 확인 등이 나타나며 이를 확인해보시고 제가 체크한 것처럼 체크하시면 되는데요.

 

단, 면허증 분실 여부 확인에서는 본인이 현재 운전면허증을 소지하고 있다면, "소지하고 있습니다"에 분실하였으면 "분실하였습니다"에 체크해주셔야 됩니다. 저는 운전면허증을 가지고 있어서 "소지하고 있습니다"에 체크했네요.

운전면허증-갱신-방법-사진운전면허증-갱신-사진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사진등록 페이지

그다음 사진 등록 페이지가 뜨는 것과 동시에 현재 가지고 있는 운전면허증의 기존 사진도 함께 뜨게 되는데요. 새로 갱신할 사진을 등록하기 위해 "사진등록"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당연히 사진은 6개월 이내의 사진으로 등록해야 된다고 하지만 사실 현재 내 얼굴과 차이가 크게 없는 사진이라면 기간 6개월 이내의 사진보다는 현재 얼굴과 큰 차이 없는 사진으로 사용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운전면허증-갱신-사진-규격운전면허증-갱신-사진-사이즈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사진 규격(사이즈)

그러면 사진을 업로드하는 창이 뜨고 준비해놓았던 사진을 업로드하면 알아서 사각형안에 알맞게 조정이 되는데요. 사실 허용되는 사진 규격을 보면 운전 면허증 사진 사이즈가 가로 350(3.5cm)* 세로 450(4.5cm)라고 되어있으나, 제가 얼마 전 여권 사진을 새로 찍을 때 여권 사진을 파일로 받았는데, 그 여권 사진 사이즈가 413*531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사진 규격으로도 파란색 테두리안에 업로드가 되고 사진등록이 되더군요. 아무튼 갱신할 운전면허증의 사진 파일을 올리신 뒤 "저장" 버튼을 눌러주세요.

 

운전면허증-갱신-방법운전면허증-갱신-방법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면허증 종류, 언어구분, 수령방법, 날짜 선택

사진을 올리시면, 그다음으로 면허증 종류 및 수령지와 날짜를 선택하는 창으로 바뀌게 됩니다. 면허증 종류 선택에서는 "IC(모바일) 운전면허증""일반 운전면허증(플라스틱 카드)"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요.

 

단, 모바일 운전면허증(IC)을 신청하실 때 유의사항이 있습니다. NFC 지원 가능한 스마트폰만 가능하고, 아이폰 종류는 아이폰 7과 IOS 14이상이여먄 되며, 안드로이드는 OS7.0 이상만 가능합니다.

이런 유의사항에 적합하고 모바일로 발급받기를 원하시면 "IC(모바일) 운전면허증"을 선택해주셔도 되지만, 저는 "일반 운전면허증"을 선택하였으며, 언어구분 선택에서는 "국문", 수령방법 선택에서는 운전면허시험장 보다 가까운 "경찰서 방문"을 선택하였습니다.

 

그리곤 날짜를 선택하였고, 최종적으로 본인이 신청한 내역을 확인하신 다음에 "다음"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운전면허증-갱신-방법운전면허증-갱신-방법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연락처 및 알림 신청

그러고 나면 연락처 등록하는 페이지가 뜨게 되고, 이메일은 선택사항이라 기입하지 않은 채 연락처만 기입했는데요. 알림 신청을 할 수 있었으나, 무슨 개인정보 수집 동의를 해야하는 부분이라 저는 제가 선택한 날짜를 캘린더에 등록 및 스마트폰 자체 알람 설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문자 수신동의는 하지 않은채 "다음"을 눌렀습니다.

 

저는 수신을 받지 않는 것으로 선택했으나, 문자로 알림 신청을 받는 것이 편리하기에 문자로 알림을 받으실 분은 연락처 옆 "SMS 수신동의"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운전면허증-갱신-방법운전면허증-갱신-방법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 중 결제 페이지

그렇게 되면 운전면허증 수수료 결제해라며 결제 창이 뜨고, 신청내역과 본인의 수수료 금액을 확인하신 다음 납부 방법을 선택하고 "결제하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저는 일반 운전면허증에다가 국문으로 선택해서 수수료 최저 금액 8천 원이 나왔네요.

운전면허증-갱신-방법운전면허증-갱신-방법
운전면허증 갱신 신청 완료

여기까지 완료하셨다면 2종 운전면허증 갱신 신청이 완료되었으며, 희망하셨던 날짜에 운전면허장, 경찰서 중 선택하신 방문지로 기존 신분증을 들고 가셔서 새로 갱신(재발급) 받은 운전면허증을 받으시면 끝이 납니다.

 

그리고 면허증 수령하실 때에 본인이 가기가 어려워 대리인이 방문하실 경우 신청자의 이전 면허증 + 대리인 면허증 + 위임장을 가지고 가시면 수령가능합니다. 운전면허증 위임장을 찾기 어려워하실 것 같아 위임장 링크(https://www.safedriving.or.kr/guide/larGuide08.do?menuCode=MN-PO-1218) 남겨 놓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운전면허증 갱신 신청이 완료된 시점부터 구 면허증으로 은행 등 거래를 할 수 없으니, 새 운전면허증을 받기 전 까지는 주민등록증으로 업무를 보셔야 된다는 거 이점 유의해두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인터넷으로 운전면허증 갱신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며, 즐거운 성탄절 되시길 바랍니다.